본문 바로가기
농사 생물 과학

들깨 1말은 몇kg? (참깨, 쌀, 콩, 떡, 페인트)

by 달수가 말하길 2025. 10. 25.
반응형

들깨 1말은 몇kg? (참깨, 쌀, 콩, 떡, 페인트)

1말은 몇kg일까? 부피 단위의 개념부터 이해하기

‘말(斗)’이라는 단위는 무게가 아니라 부피 단위입니다. 조선시대부터 사용되던 전통 계량 단위로, 1말은 10되(升), 그리고 1되는 10홉(合)으로 구성됩니다. 현대 기준으로 보면 1되는 약 1.8리터, 즉 1말은 약 18리터의 부피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말은 몇kg입니까?’라는 질문은 사실상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밀도가 높은 곡물은 더 무겁고, 입자가 크고 공기층이 많은 식품은 가벼운 편입니다. 그래서 쌀 한말과 들깨 한말의 무게가 전혀 다르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쌀은 밀도가 높아 1말에 약 16kg 정도 나가지만, 들깨는 입자가 가볍고 공기가 많이 들어 있어 같은 부피라도 6~12kg 수준으로 차이가 큽니다. 지역과 판매처에 따라 계량 기준이 다르므로, 무게 단위를 이야기할 때는 부피 단위 ‘말’보다 킬로그램(kg) 기준으로 환산하여 사용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들깨 1말은 몇kg?

들깨는 고소한 맛과 영양 덕분에 자주 쓰이지만, 그 알갱이가 매우 작고 가벼워 쌀보다 밀도가 훨씬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들깨 1말은 약 6kg~12kg 사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지나 저장 상태, 수분 함량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중간값인 약 10kg 내외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들깨 1말(18리터 기준): 약 10kg (6~12kg 범위)
  • 들깨 1되: 약 1kg
  • 들깨 1홉: 약 100g

즉, 들깨는 부피로는 한 말이 꽤 많지만, 실제 무게는 쌀이나 콩보다 훨씬 가볍습니다. 특히 볶기 전의 생들깨는 수분 함량이 낮고 입자가 작아 상대적으로 무게가 덜 나갑니다. 반면, 들깨가 약간 눅눅하거나 신선할 경우에는 밀도가 높아 약간 더 무겁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참깨 1말은 몇kg?

참깨는 들깨보다 알이 작고 단단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더 나갑니다. 시장에서 판매되는 참깨는 일반적으로 1말에 약 11~13kg 정도로 계산합니다. 이는 들깨보다 약 10~20% 정도 무겁습니다.

이 됫박으로 10개가 참깨 1말. 무게는 대략 12kg

  • 참깨 1말(18리터 기준): 약 12kg
  • 참깨 1되: 약 1.2kg
  • 참깨 1홉: 약 120g

즉, 들깨는 한 말에 10kg, 참깨는 한 말에 12kg으로 간단히 기억해 두면 실생활에서 계산할 때 편리합니다. 다만 볶은 깨나 보관 상태가 다르면 실제 계량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쌀 1말은 몇kg?

가장 대표적인 기준 단위는 쌀입니다. 전통적으로 쌀은 1되가 약 1.6kg, 즉 1말(10되)은 약 16kg으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수분 함량이나 품종에 따라 15~18kg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쌀 1섬(2가마니)는 쌀 10말. 대략 160kg.

  • 쌀 1말(18리터 기준): 약 16kg
  • 쌀 1되: 약 1.6kg
  • 쌀 1홉: 약 160g

쌀은 입자가 단단하고 공기층이 적기 때문에 부피 대비 무게가 높은 곡물에 속합니다. 그래서 시장에서 ‘쌀 한 말 주세요’ 하면 실제로는 약 16kg 정도가 되는 셈입니다.

콩 1말은 몇kg?

콩은 쌀보다 알이 크고 사이사이에 공기층이 많기 때문에 같은 부피라도 무게가 덜 나갑니다. 보통 콩 1되가 약 1.4kg, 즉 콩 1말은 약 14kg으로 계산됩니다. 그러나 이는 대두(메주콩) 기준이며, 서리태·백태·쥐눈이콩 등 품종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왼쪽 사진은 1홉.

  • 콩 1말(18리터 기준): 약 13~14kg
  • 콩 1되: 약 1.3~1.4kg
  • 콩 1홉: 약 130~140g

콩은 크기가 커서 부피를 채울 때 공기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쌀보다 10~15% 정도 가볍습니다. 따라서 콩을 구매할 때는 무게 단위로 계산하는 것이 훨씬 정확합니다.

떡 1말은 몇kg?

떡의 경우는 원재료인 쌀가루의 수분 함량과 찌는 정도에 따라 무게가 크게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떡 1말은 약 8kg 내외로 계산됩니다. 이는 쌀을 불리고 찌면서 수분이 더해지고, 압축이 덜하기 때문입니다.

떡 1말은 몇kg?

  • 떡 1말(18리터 기준): 약 8~10kg
  • 가래떡, 백설기 등 수분 많은 떡: 약 9~10kg
  • 경단류, 찹쌀떡 등 밀도 높은 떡: 약 7~8kg

즉, 떡은 부피 단위 ‘말’로 따지는 것보다 실제 중량을 kg으로 환산해서 구매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예를 들어 잔치용 떡을 ‘1말 주문’하면 실제로는 약 8~9kg 정도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페인트 1말은 몇kg?

‘페인트 1말’이라는 표현도 여전히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페인트는 곡물과 달리 액체이기 때문에 밀도(비중)에 따라 무게가 크게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수성페인트 기준으로는 1리터당 약 1.2kg 정도로 계산되므로, 18리터(1말) 기준으로는 약 21~22kg 정도가 됩니다.

  • 수성페인트 1말(18리터): 약 21kg
  • 유성페인트(비중이 높음): 약 23kg
  • 에폭시계 페인트: 약 24~25kg

즉, 페인트는 말로 이야기할 때 부피 단위로, kg으로 이야기할 때는 무게 단위로 구분해야 합니다. 실제 도장 현장에서는 ‘페인트 1말짜리 통’이라고 하면 18리터 용량의 말통(표준 말통)을 뜻합니다.

술 한말은 몇리터일까?

술의 경우에는 무게보다 리터 단위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전통주나 막걸리, 탁주 등을 이야기할 때 ‘한말’이라고 하면 약 18리터를 의미합니다. 즉, 술 한말은 18리터, 두말은 36리터가 되는 셈입니다. 무게로 환산하면 1리터의 술이 약 1kg이므로, 술 한말은 약 18kg 정도의 질량을 가집니다.

술 한말을 다 마시는 사람을 말 술이라 함.

  • 술 1말 = 18리터 = 약 18kg
  • 술 1되 = 1.8리터
  • 술 1홉 = 0.18리터 (180ml)

전통주 제조 과정에서 말 단위는 여전히 자주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쌀 두말로 빚은 막걸리’는 약 32kg의 쌀을 사용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지역마다 다른 ‘말’의 무게

흥미롭게도, 같은 ‘한말’이라도 지역에 따라 다르게 계량됩니다. 경상도와 전라도에서는 대두(큰되) 기준을, 서울·경기·강원도에서는 소두(작은되) 기준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대두로 잴 경우 쌀 한말이 약 16kg이지만, 소두로 재면 약 8kg이 되는 식입니다. 그래서 같은 “쌀 한말”을 달라고 해도 지방에 따라 무게 차이가 2배까지 날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상거래에서는 표준 리터 단위(1말 = 18.039리터)로 통일되어 있으나, 농촌 장터나 재래시장에서는 여전히 지역적 차이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거래 시에는 반드시 “몇kg 기준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말 대신 kg 단위를 쓰는 이유

이처럼 말은 원래 부피 단위이기 때문에, 품목마다 무게가 달라 혼란이 생깁니다. 특히 곡물 거래나 농산물 직거래 시에는 부피보다는 무게가 거래 기준으로 더 정확합니다. 국제 표준 단위(SI 단위계)에 따라 현재는 대부분 kg, g, L 단위로 전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쌀 한말’, ‘깨 한말’, ‘페인트 한말’ 같은 표현이 남아 있는 것은 전통적인 생활습관의 영향입니다. 따라서 말의 개념을 이해한 뒤, 이를 kg 또는 L 단위로 환산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결론

정리하면, ‘말’은 무게가 아닌 부피 단위로, 1말은 약 18리터입니다. 그러나 내용물의 밀도에 따라 실제 무게는 달라집니다.

  • 쌀 1말: 약 16kg
  • 콩 1말: 약 13~14kg
  • 들깨 1말: 약 6~12kg
  • 참깨 1말: 약 12kg
  • 떡 1말: 약 8~10kg
  • 페인트 1말: 약 21~25kg
  • 술 1말: 18리터 (약 18kg)

따라서 ‘1말은 몇kg이냐’라는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은 “내용물에 따라 다르다”입니다. 들깨처럼 가벼운 재료는 10kg 안팎, 쌀처럼 밀도가 높은 곡물은 16kg 내외, 액체는 18리터 기준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전통 단위의 감각을 이해하는 것은 생활 속 계산이나 농산물 거래 시 유용하지만, 실제 거래나 구매에서는 혼선을 피하기 위해 kg 단위로 환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반응형